우환에살며안락에죽는다.
페이지 정보
감기 조심하시고 건강관리 유념하세요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a href="http://info-modelhouse3.co.kr/" target="_blank">오목천역 더리브</a></p>
ystem | 지상접근경보장치 1. 개요 비행기가 지상에 접근할때 알람을 울려주는 장치. 착륙시에 기계음으로 고도를 말해주거나, 여러 안내를 하는 것들이 바로 GPWS에서 내는 소리다. 항공이예요
지상접근경보장치 지상조업 지상지원장비 지상충돌회피장치 지상접근경보장치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GPWS] 1) 조종사가 모르는 사이에 항공기의 고도가 저하되거나, 산에 이하게되었어요
한답니다. TCAS가 공중을 담당한다면, 지상과 관련된 위험은 어떤 장치가 책임질까요? GWPS와 MSAW 등이 있는데, 먼저 GPWS를 먼저 살펴보아요. GPWS는 지상접근경보장치로, 항공기가 지상하였고
판단하여 개입 시작하며 수평꼬리날개가 기수를 내리는 방향으로 조작 8시 40분 03초 GPWS(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 지상접근경보장치) "Don't Sink" 경고음. 기장은 조종간을 하였고
비행능력, 공중급유 능력, 공수부대 또는 보급품 강하능력, 야간비행 능력, 자동화된 적하설비 등도 갖추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HUD, 편대항법장치(SKE), 지상접근경보장치(EGPWS), 항법합니다
악화될대로 악화된(짙은 안개로 시계 제한 등) 기상 여건조차 시스템 오류쯤으로 받아들여 무작정 콜카타를 향하던 사고기는 고도를 낮추며 때마침 감지된 GPWS(지상접근경보장치)의 경보하게됬어요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GPWS) <b>지상</b><b>접근</b>경고<b>장치</b>(GPWS)는 항공기가 지면에 이상<b>접근</b>, 즉 강하율 과도, 착륙 지형이 아닌 상태에 착 륙을 시도할 때 등 지표면에 <b>접근</b>하여 위험한 상태에 달할 때 조종사에게 알려주기 위한 <b>경보</b> <b>장치</b>이다. 전파고도를 이용한 고도 계산을 기준으로 <b>경보</b>정보를 컴퓨터의 표시...
근접 경고 시스템 GPWS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이 장착되어 <b>지상</b>에 너무 가까워지면 경고를 한다는데 https://namu.wiki/w/GPWS GPWS <b>지상</b><b>접근</b><b>경보</b><b>장치</b> (GPWS,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는 비행기 가 <b>지상</b>에 <b>접근</b>할 namu.wiki 왜 기내에서는 몰랐을까? 관제탑에서는 이를 인지하고 연락을...
휠을 돌려 추락을 막아보려 하지만 이미 사람의 힘으로는 불가능한 무게다. 추락 직전 하강률은 10,000피트. GPWS(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b>지상</b><b>접근</b><b>경보</b><b>장치</b>)의 음성이 출력된다. TERRAIN TERRAIN TERRAIN PULL UP! PULL UP! 비행컴퓨터는 오류로 기수를 강제로 내리려 하고, 컴퓨터의 GPWS는 기수를...
적 <b>지상</b>부대를 경계하라 ↘비밀기지를 찾아라 →해킹을 저지하라 거대 메카니로이드 침입 저지[돌발미션] ↓ 레지스탕스 베이스 사수 ↓ 적 기지 침입 ↓ 네오 아르카디아 탑 ↓ 네오 아르카디아 본부 엔딩 <기타> 무기 관련 정보 / 사이버 엘프 공략 / 랭크 공략 미션: 비밀기지를 찾아라 더보기 클리어 타임 4분 16초...
높이는 <b>지상</b> 1.5m 이상으로 한다. ㉢ 통기관의 선단은 수평면에 대하여 아래로 45° 이상 구부려 빗물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88. 다음 중 <b>경보</b>설비는 어느 것인가 ? ① 자동화재탐지설비 ② 옥외소화전설비 ③ 유도등 설비 ④ 제연설비 [풀이] 답 : ① 옥외소화전설비 - 소화설비, 유도등설비-피난설비, 제연설비...
고소작업대(Mobile Elevated Work Platform, MEWP)는 차대(Chassis), 연장구조물(Extending Structure), 작업대(Work Platform)으로 구성되며 작업자를 작업위치로 이동시켜주는 기계이다.고소작업대는 안전인증과 안전검사 대상이다. 안전인증 대상 고소작업대안전검사 대상 고소작업대동력에 의해 사람이 탑승한 작업대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든 종류와 크기의 고소작업대에 대해 적용단, 테일 리프트, 승강높이 2미터 이하 승강대, 항공기 <b>지상</b>지원 장비, 소방기본법에 따른 소방장비,
고소작업대는 3가지로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다. 1) 상승 주행 여부 < 상승 주행 여부에 따른 분류 > 작업대가 상승 혹은 전개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행이 불가능한 것, 즉 적재위치(=운반위치)에서만 주행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는 1종이라 하고 적재위치가 아니더라도 주행이 가능하되 운전석이 차대에 있는 차량탑재형과 같은 고소작업대는 2종, 운전석이 작업대에 있으면 3종으로 분류한다. 안전관리 차원에서는 1종이 가장 안전한 형태라 할 수 있겠다.* 운반위치(Transport Position) : 고소작업대를 사용장소로 운반 또는 이동하
작업대를 사용하는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유형별 대책에 대해 알아보자. 사고 유형중점관리원인대책떨어짐 차량탑재형1) 작업대 안전난간 해체2) 안전대 미체결3) 와이어로프, 체인 파단 또는 작업대 탈락1) 작업대 4면 안전난간 체결(체인, 와이어로프로 출입문이나 난간 대체 금지)2) 안전대 착용 및 고리 체결3) 와이어로프, 체인 상태 점검 및 작업대와 연장구조물 체결 및 결함 확인끼임 시저형1) 실수로 상승 조작2) 작업대 바깥으로 몸을 내밀어 작업1) 과상승방지<b>장치</b> 설치, 풋커버 설치2) 작업대 바깥으로 신체 노출 금지
고소작업대에 설치되는 주요 안전<b>장치</b>에 대해 살펴보자. 1) 자동안전<b>장치</b> (보행자 조작식, 1종 동력 구동식에 적용) 운반위치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을 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속도를 제한하는 안전<b>장치</b>즉, 고소작업대를 이동시키려면 작업대를 이동이 가능할 정도로 낮춘 상태에서 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 주행을 방지해야 한다.자체추진 고소작업대는 운반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 주행속도를 자동으로 제한해야 한다. 2) 안정기(아웃트리거) 안정기의 발은 최소 10도의 경사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동력 안정기...
1) 제2종 및 제3종 고소작업대의 작업대가 적재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 최대 주행속도 (1) 차량탑재형 : 1.5 m/s (2) 레일 장착형 : 3.0 m/s (3) 자체 추진형 : 0.7 m/s 2) 운반위치에 작업대가 있는 보행자 제어 고소작업대의 최대 주행속도는 1.7m/s 이하 3) 연장구조물, 차대, 작업대 사이의 끼임점과 전단점으로 인한 위험이 공간과 방호<b>장치</b>를 통해 제거되어야 한다. 해당 조치가 어려운 경우 식별이 용이한 경고표지를 부착하고 시저형 고소작업대는 가드로 보호되지 않을 경우 경고표지와 하강시 <b>경보</b>를 발생시켜
유해위험작업의 취업제한에 관한 규칙에 따라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를 조종하는 사람은 다음의 자격이 필수로 요구된다.1)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이 있는 자2) 고소작업대 신규조종자 교육 이수자 (20시간)
1) 작업대 2) 연장국조물 등의 구조부분 3) 차대 4) 구동<b>장치</b> 및 유공압계통 5) 제어반 6)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 7) 주요 방호<b>장치</b>
1) 과부하방지<b>장치</b> 작동유무 확인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구동방식의 경우)2) 비상정지<b>장치</b> 및 비상하강방지<b>장치</b> 기능의 이상유무3) 안정기(아웃트리거) 및 바퀴 이상유무4) 작업면의 기울기 및 요철 유무5) 활선 작업용 <b>장치</b>의 경우 균열 및 파손 등 이상유무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86조 (1)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이 끊어지지 않는 구조여야 하며 안전율은 5이상으로 한다. (2) 작업대를 유압으로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 압력의 이상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3) 작업대에 정격하중 표시해야 한다. (4) 작업자를 태우고 이동하지 말 것. (일반적인 요구사항일 것이고, 3종 고소작업대는 제외일 것이다.) (5) 관계자가 아닌 사람이 작업구역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 (6) 전로에 근접하여 작업하는 경우 작업감시자를 배치하는 등 감전
주의 <b>경보</b>를 주자 얼마 안 있다가 조종사가 메이데이를 선언했다
전기설비에는 발전, 변전, 송전, 배전 등의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로부터 전기를 동력, 열, 빛 등으로 바꾸어 사용하기 위한 전기사용 기계기구에 이르기까지 범위가 넓으며, 이들에 대한 전기작업의 내용도 여러 갈래로 걸쳐져 있다. 1. 전기작업이란? 전기주임기술자, 고압전기기술자, 전기공사 작업자 등 소위 전기취급자가 실시하는 전기설비의 부설, 운전조작, 점검, 보수 등의 작업 2. 전기작업의 구분 (1) 정전시키고 실시하는 ‘정전작업’ 전기기계·기구 또는 전로의 설치·해체·정비·점검 작업을 할 때에는 감전이나 설비...
1. 충전전로를 취급하거나 그 인근에서 작업하는 경우 다음 조치 실시 (1) 충전전로를 정전시키는 경우 정전전로에서의 전기작업 수칙에 따라 조치 (2) 충전전로를 방호, 차폐, 절연 등의 조치 시 신체가 직접 접촉, 공구를 통해 간접 접촉 되지 않도록 조치 (3) 충전전로를 취급하는 근로자에게 그 작업에 적합한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시킬 것 (4) 충전전로에 근접한 장소에서 전기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해당 전압에 적합한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 단, 저압인 경우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하되, 충전전로에 접촉 우려가 없는 경우 예외...
근로자가 노출된 충전부 또는 그 부근에서 작업함으로써 감전될 우려가 있는 경우 작업에 들어가기 전에 해당 전로를 차단하여야 한다. 1. 정전작업 전 확인사항 (1) 정전확인용 검전기는 감전 위험이 없고 사용 시 단락 되지 않는 것 (2) 검전기는 사용 전후에 시험하여야 할 것 (3) 검전기의 올바른 사용에 대한 교육은 전로에서의 예상치 못한 사용에 따른 위험을 피 하기 위해 꼭 필요 (4) 잘못된 조작으로 잘못 설정될 수 있는 멀티미터는 정전 검증용으로는 권장하지 않음 (5) 회로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든 계측기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a href="http://info-modelhouse3.co.kr/" target="_blank">오목천역 더리브</a></p>
ystem | 지상접근경보장치 1. 개요 비행기가 지상에 접근할때 알람을 울려주는 장치. 착륙시에 기계음으로 고도를 말해주거나, 여러 안내를 하는 것들이 바로 GPWS에서 내는 소리다. 항공이예요
지상접근경보장치 지상조업 지상지원장비 지상충돌회피장치 지상접근경보장치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GPWS] 1) 조종사가 모르는 사이에 항공기의 고도가 저하되거나, 산에 이하게되었어요
한답니다. TCAS가 공중을 담당한다면, 지상과 관련된 위험은 어떤 장치가 책임질까요? GWPS와 MSAW 등이 있는데, 먼저 GPWS를 먼저 살펴보아요. GPWS는 지상접근경보장치로, 항공기가 지상하였고
판단하여 개입 시작하며 수평꼬리날개가 기수를 내리는 방향으로 조작 8시 40분 03초 GPWS(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 지상접근경보장치) "Don't Sink" 경고음. 기장은 조종간을 하였고
비행능력, 공중급유 능력, 공수부대 또는 보급품 강하능력, 야간비행 능력, 자동화된 적하설비 등도 갖추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HUD, 편대항법장치(SKE), 지상접근경보장치(EGPWS), 항법합니다
악화될대로 악화된(짙은 안개로 시계 제한 등) 기상 여건조차 시스템 오류쯤으로 받아들여 무작정 콜카타를 향하던 사고기는 고도를 낮추며 때마침 감지된 GPWS(지상접근경보장치)의 경보하게됬어요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GPWS) <b>지상</b><b>접근</b>경고<b>장치</b>(GPWS)는 항공기가 지면에 이상<b>접근</b>, 즉 강하율 과도, 착륙 지형이 아닌 상태에 착 륙을 시도할 때 등 지표면에 <b>접근</b>하여 위험한 상태에 달할 때 조종사에게 알려주기 위한 <b>경보</b> <b>장치</b>이다. 전파고도를 이용한 고도 계산을 기준으로 <b>경보</b>정보를 컴퓨터의 표시...
근접 경고 시스템 GPWS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이 장착되어 <b>지상</b>에 너무 가까워지면 경고를 한다는데 https://namu.wiki/w/GPWS GPWS <b>지상</b><b>접근</b><b>경보</b><b>장치</b> (GPWS,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는 비행기 가 <b>지상</b>에 <b>접근</b>할 namu.wiki 왜 기내에서는 몰랐을까? 관제탑에서는 이를 인지하고 연락을...
휠을 돌려 추락을 막아보려 하지만 이미 사람의 힘으로는 불가능한 무게다. 추락 직전 하강률은 10,000피트. GPWS(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b>지상</b><b>접근</b><b>경보</b><b>장치</b>)의 음성이 출력된다. TERRAIN TERRAIN TERRAIN PULL UP! PULL UP! 비행컴퓨터는 오류로 기수를 강제로 내리려 하고, 컴퓨터의 GPWS는 기수를...
적 <b>지상</b>부대를 경계하라 ↘비밀기지를 찾아라 →해킹을 저지하라 거대 메카니로이드 침입 저지[돌발미션] ↓ 레지스탕스 베이스 사수 ↓ 적 기지 침입 ↓ 네오 아르카디아 탑 ↓ 네오 아르카디아 본부 엔딩 <기타> 무기 관련 정보 / 사이버 엘프 공략 / 랭크 공략 미션: 비밀기지를 찾아라 더보기 클리어 타임 4분 16초...
높이는 <b>지상</b> 1.5m 이상으로 한다. ㉢ 통기관의 선단은 수평면에 대하여 아래로 45° 이상 구부려 빗물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88. 다음 중 <b>경보</b>설비는 어느 것인가 ? ① 자동화재탐지설비 ② 옥외소화전설비 ③ 유도등 설비 ④ 제연설비 [풀이] 답 : ① 옥외소화전설비 - 소화설비, 유도등설비-피난설비, 제연설비...
고소작업대(Mobile Elevated Work Platform, MEWP)는 차대(Chassis), 연장구조물(Extending Structure), 작업대(Work Platform)으로 구성되며 작업자를 작업위치로 이동시켜주는 기계이다.고소작업대는 안전인증과 안전검사 대상이다. 안전인증 대상 고소작업대안전검사 대상 고소작업대동력에 의해 사람이 탑승한 작업대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든 종류와 크기의 고소작업대에 대해 적용단, 테일 리프트, 승강높이 2미터 이하 승강대, 항공기 <b>지상</b>지원 장비, 소방기본법에 따른 소방장비,
고소작업대는 3가지로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다. 1) 상승 주행 여부 < 상승 주행 여부에 따른 분류 > 작업대가 상승 혹은 전개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행이 불가능한 것, 즉 적재위치(=운반위치)에서만 주행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는 1종이라 하고 적재위치가 아니더라도 주행이 가능하되 운전석이 차대에 있는 차량탑재형과 같은 고소작업대는 2종, 운전석이 작업대에 있으면 3종으로 분류한다. 안전관리 차원에서는 1종이 가장 안전한 형태라 할 수 있겠다.* 운반위치(Transport Position) : 고소작업대를 사용장소로 운반 또는 이동하
작업대를 사용하는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유형별 대책에 대해 알아보자. 사고 유형중점관리원인대책떨어짐 차량탑재형1) 작업대 안전난간 해체2) 안전대 미체결3) 와이어로프, 체인 파단 또는 작업대 탈락1) 작업대 4면 안전난간 체결(체인, 와이어로프로 출입문이나 난간 대체 금지)2) 안전대 착용 및 고리 체결3) 와이어로프, 체인 상태 점검 및 작업대와 연장구조물 체결 및 결함 확인끼임 시저형1) 실수로 상승 조작2) 작업대 바깥으로 몸을 내밀어 작업1) 과상승방지<b>장치</b> 설치, 풋커버 설치2) 작업대 바깥으로 신체 노출 금지
고소작업대에 설치되는 주요 안전<b>장치</b>에 대해 살펴보자. 1) 자동안전<b>장치</b> (보행자 조작식, 1종 동력 구동식에 적용) 운반위치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을 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속도를 제한하는 안전<b>장치</b>즉, 고소작업대를 이동시키려면 작업대를 이동이 가능할 정도로 낮춘 상태에서 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 주행을 방지해야 한다.자체추진 고소작업대는 운반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 주행속도를 자동으로 제한해야 한다. 2) 안정기(아웃트리거) 안정기의 발은 최소 10도의 경사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동력 안정기...
1) 제2종 및 제3종 고소작업대의 작업대가 적재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 최대 주행속도 (1) 차량탑재형 : 1.5 m/s (2) 레일 장착형 : 3.0 m/s (3) 자체 추진형 : 0.7 m/s 2) 운반위치에 작업대가 있는 보행자 제어 고소작업대의 최대 주행속도는 1.7m/s 이하 3) 연장구조물, 차대, 작업대 사이의 끼임점과 전단점으로 인한 위험이 공간과 방호<b>장치</b>를 통해 제거되어야 한다. 해당 조치가 어려운 경우 식별이 용이한 경고표지를 부착하고 시저형 고소작업대는 가드로 보호되지 않을 경우 경고표지와 하강시 <b>경보</b>를 발생시켜
유해위험작업의 취업제한에 관한 규칙에 따라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를 조종하는 사람은 다음의 자격이 필수로 요구된다.1)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이 있는 자2) 고소작업대 신규조종자 교육 이수자 (20시간)
1) 작업대 2) 연장국조물 등의 구조부분 3) 차대 4) 구동<b>장치</b> 및 유공압계통 5) 제어반 6)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 7) 주요 방호<b>장치</b>
1) 과부하방지<b>장치</b> 작동유무 확인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구동방식의 경우)2) 비상정지<b>장치</b> 및 비상하강방지<b>장치</b> 기능의 이상유무3) 안정기(아웃트리거) 및 바퀴 이상유무4) 작업면의 기울기 및 요철 유무5) 활선 작업용 <b>장치</b>의 경우 균열 및 파손 등 이상유무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86조 (1)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이 끊어지지 않는 구조여야 하며 안전율은 5이상으로 한다. (2) 작업대를 유압으로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 압력의 이상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3) 작업대에 정격하중 표시해야 한다. (4) 작업자를 태우고 이동하지 말 것. (일반적인 요구사항일 것이고, 3종 고소작업대는 제외일 것이다.) (5) 관계자가 아닌 사람이 작업구역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 (6) 전로에 근접하여 작업하는 경우 작업감시자를 배치하는 등 감전
주의 <b>경보</b>를 주자 얼마 안 있다가 조종사가 메이데이를 선언했다
전기설비에는 발전, 변전, 송전, 배전 등의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로부터 전기를 동력, 열, 빛 등으로 바꾸어 사용하기 위한 전기사용 기계기구에 이르기까지 범위가 넓으며, 이들에 대한 전기작업의 내용도 여러 갈래로 걸쳐져 있다. 1. 전기작업이란? 전기주임기술자, 고압전기기술자, 전기공사 작업자 등 소위 전기취급자가 실시하는 전기설비의 부설, 운전조작, 점검, 보수 등의 작업 2. 전기작업의 구분 (1) 정전시키고 실시하는 ‘정전작업’ 전기기계·기구 또는 전로의 설치·해체·정비·점검 작업을 할 때에는 감전이나 설비...
1. 충전전로를 취급하거나 그 인근에서 작업하는 경우 다음 조치 실시 (1) 충전전로를 정전시키는 경우 정전전로에서의 전기작업 수칙에 따라 조치 (2) 충전전로를 방호, 차폐, 절연 등의 조치 시 신체가 직접 접촉, 공구를 통해 간접 접촉 되지 않도록 조치 (3) 충전전로를 취급하는 근로자에게 그 작업에 적합한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시킬 것 (4) 충전전로에 근접한 장소에서 전기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해당 전압에 적합한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 단, 저압인 경우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하되, 충전전로에 접촉 우려가 없는 경우 예외...
근로자가 노출된 충전부 또는 그 부근에서 작업함으로써 감전될 우려가 있는 경우 작업에 들어가기 전에 해당 전로를 차단하여야 한다. 1. 정전작업 전 확인사항 (1) 정전확인용 검전기는 감전 위험이 없고 사용 시 단락 되지 않는 것 (2) 검전기는 사용 전후에 시험하여야 할 것 (3) 검전기의 올바른 사용에 대한 교육은 전로에서의 예상치 못한 사용에 따른 위험을 피 하기 위해 꼭 필요 (4) 잘못된 조작으로 잘못 설정될 수 있는 멀티미터는 정전 검증용으로는 권장하지 않음 (5) 회로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든 계측기